일반 고기는 구워야 제맛? 수육 줄더니 ‘이 암’ 급증, 최악의 식습관은?
페이지 정보

본문
고기는 구워야 제맛? 수육 줄더니 ‘이 암’ 급증, 최악의 식습관은?
고기는 구워야 제맛? 수육 줄더니 ‘이 암’ 급증, 최악의 식습관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육류는 삶아서 먹어야 한다. 구워서 먹을 때 검게 그을리면 발암물질이 생성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수육은 삶아 내어 물기를 뺀 육류를 말한다. 예전에는 식당, 가정에서도
고기는 삶아서 먹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어느 순간 고기는 구워서 먹는 것이 대세가 됐다.
그 많던 수육 고기 식당은 크게 줄었다. 자연스럽게 불에 바짝 구워서 탄 고기를 먹는 경우도 증가했다.
최근 대장암, 췌장암, 위암 증가는 이와 일부 관련이 있다. 고기를 먹는 방식에 대해 다시 알아보자.
검게 그을리거나 탄 고기...왜 암 발생 위험 높일까?
육류나 생선을 높은 온도에서 굽는 경우 검게 그을리거나 태울 수 있다.
이때 헤테로사이클릭아민, 벤조피렌 같은 강력한 발암물질이 생긴다.
이 발암물질들은 DNA 복제 과정에서 돌연변이를 일으키면서 암 발생을 촉진한다.
실제로 이런 발암물질들은 췌장암, 위암, 대장암(결장암),
유방암 등 여러 암의 위험을 2배 이상 높인다(국가암정보센터 자료).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분류한 1군 발암물질인 햄,
소시지 등 육가공품을 태우면 더욱 나쁘다.
탄수화물 많은 곡류도 고온에서 가열하면...발암물질 만들어져
육류 등 동물성 식품 뿐만 아니라 탄수화물이 많은 식품을 튀김 등 높은 온도에서
가열-조리하는 과정에서도 아크릴아마이드와 같은 발암물질이 만들어진다.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도 아크릴아마이드를 줄이기 위한
실행규범을 마련하여 실제 과자류 제조 공정에 공유하고 있다.
곡류 가공품 및 즉석 식품 중 아크릴아마이드 생성 가능성이 높은 볶기,
굽기, 튀긴 제품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20~30년 전에는 드물었던 췌장암, 대장암...왜 급증하는 것일까?
췌장암, 대장암은 예전에는 환자가 적었다.
위암은 짠 음식 섭취 등으로 인해 암 발생 1위였지만 대장암은 20~30년 전만 해도
내시경 전문의가 거의 없을 정도로 존재감이 없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한 해에 3만 3천명이 넘는 신규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곧 전체 암 1위를 차지할 기세이다.항암 치료 중인 암 환자도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등 육류를 먹는 게 좋다.
몸에 잘 흡수되는 단백질이 근육-호르몬 생성, 면역력 증진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육류는 삶아서 먹어야 한다.
구워서 먹으면 앞서 언급한 발암물질이 생성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고기 옆에는 양파, 고추 등 채소 필수...암 예방에 좋은 이유는?
채소와 과일은 다양한 항산화 성분들이 많아 정상세포가 암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양파의 퀘르세틴 성분은 발암물질로부터 정상 세포가 공격당하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쌓이는 것을 억제한다.
고추의 매운맛 성분인 캡사이신은 암 생성에서부터 진행,
전이 등 모든 단계에서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비타민 C가 풍부한 토마토, 풋고추, 브로콜리, 귤, 딸기, 키위 등은 세포 손상을 방지해 암 예방에 기여한다.
맛 있다고 고기 구이만 먹는 게 최악이다. 다양한 채소를 함께 먹어야 한다.
- 다음글바로 ‘이것’ 덕분에 *사과 한 개만 먹어도 치매 예방에 좋은 까닭. 25.05.15